01. 데이터베이스 이해

PearLineZero
|2025. 4. 29. 18:02

✅  데이터 관리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신속히 검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로 한 조직의 여러 응용 시스템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하기 이해 통합, 저장, 관리하는 장치를 말함.

 

 

전통적인 데이터 관리 방식으로는 파일 처리 시스템 이 있다.

 

 

✅  파일 처리 시스템

데베가 개발되기전 데이터 관리에 사용하며 업무 별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데이터를 개별 데이터 파일에 저장 관리하는 시스템

 

📌  문제점

데이터 종속의 문제

- 저장된 데이터가 특정 사용자만 될 수 있도록 제한되는 문제 (물리적 데이터 종속, 논리적 데이터 종속)

데이터 중복의 문제

- 동일한 사항에 대한 중복된 데이터는 일관성, 보안성 경제성 측면에서 발생되는 문제 발생 원인

무결성 훼손의 문제

- 실세계의 데이터는 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기능 범위(제약조건)를 포함

- 데이터 무결성의 정의

- 파일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음

동시 접근 문제

- 동일 데이터 다수 사용자의 접근 허용시 일관성이 훼손

 

 

✅  데이터 베이스의 특징

-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자기 기술성 ( 데이터와 데이터의 정의 및 설명을 포함)

-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격리 및 추상화(사용자에게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인 표현을 제공하여 접근성을 향상)

- 다중 뷰 제공 ( 각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만을 표현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데이터 공유와 다수 사용자 트랜잭션 처리(다수의 데이터 조작 요청을 동시성 제어 기능을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작업을 수행)

 

 

✅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구성

 

 

✅ DBMS의 3단계 구조

데이터 추상화와 데이터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개념적-논리적-물리적 3단계 구조

 

 

✅ 트랙잭션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일련의 데이터베이스 명령의 집합

📌  데이터베이스 관련 용어

- 데이터 : 어떠한 사실에 대한 정량적, 정서적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값과 값에 대한 설명

- 데이터 베이스 : 특정 기관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집합

-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된 형태의 정보로 제공하는 컴퓨터 기반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된 형태의 정보로 제공하는 컴포터 기반 시스템

 

 

✅ 데이터 베이스 언어

- DBMS 사용자가 데이터를 쉽게 사용하고 다룰 수 있도록 언어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 역할에 따라 종류와 언어로 구분된다 ( 데이터 정의 언어(DDL) , 데이터 조작 언어 (DML)

- 현대의 데이터베이스 언어는 자연어와 유사한 형태인 SQL 표준화

 

 

✅ DDL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생성, 수정, 삭제하기 위한 언어

📌 요구기능

- 데이터 모델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데이터의 논리적 구성 특징을 규정

- 데이터가 저장장치에 저장되도록 데이터의 물리적 구성을 규정

- 물리적 구성을 논리적 구성으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데이터의 물리적 구성과 논리적 구성 간의 사상을 규정

 

 

✅ DML

구조화된 데이터 사용자가 접근 및 조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언어(검색, 삽입, 삭제, 수정)

📌  요구기능

- 데이터 조작이 쉽고 간편

- 데이터 조작기능이 정확하고 완전 사용자의 요청을 시스템 내부에서 효율적 처리가능

 

 

✅ 중앙집중 방식

- 단일 서버가 다수의 터미널 대신하여 데이터 처리

- 중앙 서버의 과부화로 전체적인 성능저하

 

 

✅ 클라이언트 -서버 (분산 처리) 방식

- 클라이언트 성능 향상으로 자체적인 처리 능력 보유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부하를 분산

-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 및 이식성 증가

 

 

🔎  정리

  • 파일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 중복과 종속성 문제가 있었고, 이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극복했다.
  • DBMS는 데이터를 저장·관리하고, 3단계 구조(외부, 개념, 내부 단계)를 통해 추상화와 독립성을 제공한다.
  • 데이터베이스는 자기 기술성, 다중 뷰, 동시성 제어를 통해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한다.
  • 데이터베이스 언어는 DDL(정의)과 DML(조작)로 구성된다.
  • DBMS 아키텍처는 중앙집중식과 클라이언트-서버(분산 처리) 방식으로 구분된다.



 

 

 

 

 

'CS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SQL - 2  (0) 2025.04.30
04. SQL - 1  (0) 2025.04.30
03. 관계형 모델  (0) 2025.04.29
02.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0)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