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어 : Bronze 2
정답여부 : 정답
알고리즘 유형 : 수학, 구현
시간 제한 : 1초

💡문제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한다. 0번째 피보나치 수는 0이고, 1번째 피보나치 수는 1이다. 그 다음 2번째 부터는 바로 앞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

이를 식으로 써보면 Fn = Fn-1 + Fn-2 (n ≥ 2)가 된다.

n=17일때 까지 피보나치 수를 써보면 다음과 같다.

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n이 주어졌을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2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출력

첫째 줄에 n번째 피보나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1

10

 

💡예제 출력1

55

 

 

💡문제 분석 

  •  n번째 피보나치 수를 구하면 되는 문제

 

 

💡알고리즘 설계

  1. 각 수를 n+1만큼 배열을 만들어준다.
  2. 0번째는 0을 1번째는 1이 들어감으로 만약 n이 0이거나 1인경우 0과 1을 출력
  3. i를 2부터 시작하여 N번째 만큼 반복하며 각 i에 [i-1] + [i-2] 합을 넣어준다.
  4. 맨 끝값을 출력

 

💡시간복잡도

  • O(N)

 

💡코드

import java.io.*;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 (N == 0) {
            System.out.println(0);
            return;
        } else if (N == 1) {
            System.out.println(1);
            return;
        }
		int result[] = new int [N +1];
		result[0] = 0;
		result[1] = 1;
		for(int i = 2; i <= N; i++) {
			result[i] = result[i - 1] + result[i - 2];	
		}
		System.out.println(result[result.length -1]);
	}

}

 

💡 틀린 이유

통과원래는 반복문 방식이나 재귀를 사용할까 했지만 DP 연습을 해야하기에 DP 방법을 이용하여 풀었다.

 

 

💡 느낀점 or 기억할정보

DP 연습!!

'CodingTest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0J]N번째 큰 수(2693번)  (0) 2024.10.02
[B0J]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2609번)  (0) 2024.10.02
[B0J]지능형 기차 2 (2406번)  (0) 2024.10.01
[B0J]일곱 난쟁이(2309번)  (0) 2024.10.01
[B0J]약수 구하기(2501번)  (0) 2024.10.01